만들어진 스프링 프로젝트를 보기에 앞서, Spring MVC가 어떻게 요청을 처리하는지 알아본다.
대략적인 처리과정은 위 이미지와 같다.
대략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으로 올라 올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1. 먼저 클라인트 쪽에서 들어오는 요청은 DispatcherServlet으로 전달된다.
2. 요청을 받은 DispatcherServlet은 HandlerMapping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클라이언트한테 이런 요청이 들어왔는데,
혹시 맵핑한 컨트롤러가 있는지 찾아달라고 부탁한다.
3. 부탁을 받은 HandlerMapping은 url패턴을 통해 맵핑한 컨트롤러를 찾는다.
4. 았다면 컨트롤에게서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줄 view의 이름을 받아서 DispatcherServlet에게 돌아갈 준비를 한다.
5. 돌아가기 전에 view에서 쓰일 정보들을 담아서 가져가야하는데 이때 정보들을 다 들고 옮겨주는게 ModelAndView다.
6. 바로 view에게 가서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기보다는,
보통 view의 이름을 controller에서 가져오고 이름을 통해서 view 오브젝트를 생성해준다.
7. ViewResolver에게 받은 View에게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질 결과물을 생성하라고 요청한다.
8. 모든 처리결과가 담긴 View를 DispatcherServlet에 전달한다.
9.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화면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면서 Spring MVC 처리과정이 완료된다.
다음 글에서는 어떻게 위와 같은 처리과정이 일어나는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TIL > Java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시적 / 명시적 형 변환 (0) | 2022.08.03 |
---|---|
객체 지향 언어의 특징인 상속을 알아보자! (0) | 2022.04.13 |
Spring Framework 4 - Spring Legacy Project 뜯어보기 (4) | 2021.04.06 |
Spring Framework 2 - 프로젝트 생성 및 기본 설명 (0) | 2021.04.05 |
Spring Framework 1 - 맥북에 STS 설치하기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