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맥북에 STS 설치가 완료되었고 이제 기본적인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만들고 하나하나 짚어보면서 복습을 해봐야겠다.
먼저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프로젝트가 있어야한다.
package explorer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또는 file-new에 들어가면 Spring Legacy Project가 보인다.
일반적으로 Spring Legacy Project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지만
다른 프로젝트들과의 차이가 살짝 궁금해지긴한다.
Spring Legacy Project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원하는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고
Templates들 중 가장 아래에 있는 Spring MVC Project를 클릭한다.
next를 누르면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받는데 얼마의 용량이 든다고 알려준다.
Maven 저장소를 통해서 자동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받아지니 편하다.
Yes를 눌러준다.
yes를 누르면 이제 top-level package를 알려달라고 한다.
예로 나와있는 com.mycompany.myapp처럼 최소한 3단계로 만들어져야한다.
com.회사이름.프로젝트명 등으로 경로를 설정해주면 좋을거 같다.
top-level package이름을 정해주고 finish를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여기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받아주기 때문에 조금은 기다려주어야한다.
생성이 완료된 Spring Legacy Project의 모습.
다음 글에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확장 시켜 놓은 모습이다.
이제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 약간의 세팅을 해야한다.
그 내용은 다음글에서 적어보겠다.
'TIL > Java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시적 / 명시적 형 변환 (0) | 2022.08.03 |
---|---|
객체 지향 언어의 특징인 상속을 알아보자! (0) | 2022.04.13 |
Spring Framework 4 - Spring Legacy Project 뜯어보기 (4) | 2021.04.06 |
Spring Framework 3 - Spring MVC 구조와 처리과정 (0) | 2021.04.06 |
Spring Framework 1 - 맥북에 STS 설치하기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