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정보처리기사

080 식별자 - 1장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삼공비 2022. 2. 4. 21:02

1. 식별자 정의 및 분류

- 하나의 개체 내에서 각각의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로 개체는 한 개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분류 식별자
대표성 여부 주 식별자(primary identifier), 보조 식별자(alternate identifier)
스스로 생성 여부 내부 식별자(internal identifier), 외부 식별자(foreign identifier)
단일 속성 여부 단일 식별자(single identifier), 복합 식별자(composit identifier)
대체 여부 원조 식별자(original identifier), 대리 식별자(surrogate identifier)

 

2. 주 식별자 / 보조 식별자

- 주 식별자는 개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식별자

- 보조 식별자는 주 식별자를 대신하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 두 식별자 모두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 보조 식별자는 한 개 이상 존재 가능

- 주 식별자는 기본키(primary key), 보조 식별자는 유니크 인덱스로 지정

 

3. 내부 식별자 / 외부 식별자

- 내부 식별자는 개체 내에서 스스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 외부 식별자는 다른 개체와의 관계에 의해 가져와 사용하는 식별자

- 외부 식별자는 자시늬 개체에서 다른 개체를 찾아가는 연결자 역할

 

4. 단일 식별자 / 복합 식별자

- 단일 식별자는 주 식별자가 한 가지 속성으로만 구성된 식별자

- 복합 식별자는 주 식별자가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5. 원조 식별자 / 대리 식별자

- 원조 식별자는 업무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공되지 않은 원래의 식별자

- 대리 식별자는 주 식별자의 속성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속성들을 하나의 속성으로 묶어 사용하는 식별자 (예: 발송 번호)

 

6. 대리 식별자 조건

- 최대한 범용적인 값을 사용

- 유일한 값을 만들기 위한 대리 식별자를 사용한다

- 하나의 대리 식별자 속성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를 주의

- 편의성과 단순성, 의미의 체계화를 위한 대리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시스템적인 필요성에 의해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 대리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7. 후보 식별자

- 개체에서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 집합을 의미

- 하나의 개체에는 한 개 이상의 후보 식별자 존재하고 이 중 개체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주 식별자로, 나머지는 보조 식별자로 지정

- 조건 : 

     -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해야함

     - 속성들을 직접 식별할 수 있어야함

     - 널 값 불가

     - 속성 집합은 후보 식별자로 지정한 경우 개념적으로 유일해야 함

     - 후보 식별자의 데이터는 자주 변경되지 않아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