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정보처리기사

068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 5장 인터페이스 구현 -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삼공비 2022. 1. 29. 15:40

1.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에 대한 개요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순서

     1. 컴포넌트 명세서 확인

     2. 인터페이스 명세서 확인

     3. 일관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

     4.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형화

 

2. 모듈 세버 설계서

- 모듈의 구성 요소와 세부적인 동작 등을 정의한 설계서

- 종류 : 컴포넌트 명세서, 인터페이스 명세서

- 컴포넌트 명세서

     - 내부 클래스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명세 등을 정의

- 인터페이스 명세서

     - 컴포넌트 명세서의 항목 중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세부 조건 및 기능 등을 정의

     - 사전/사후 조건, 파라미터, 반환값 등을 정의

 

3. 모듈 세부 설계서 확인

- 각 모듈의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기반으로 필요한 기능 확인

- 컴포넌트 명세서의 컴포넌트 개요, 내부 클래스의 클래스명과 설명 등을 통해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주요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통해 필요한 주요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통해 컴포넌트 명세서의 인터페이스 클래스에 명시된 세부 조건 및 기능 확인

 

4.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 인터페이스 기능,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모듈 세부 설계석를 기반으로 일관성 있고 정형화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

-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 기능, 데이터 표준, 모듈 세부 설계서를 통해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

     - 정의한 기능 구현에 대해 송수신 측 절차까지 다시 세부적으로 정의

-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형화

     - 기능 구현을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존적이지 않고 사람들이 보기 쉽고 표준화되도록 정형화

     - 높은 가독성을 위해 프로세스 형태나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으로 정형화

댓글수0